Review에 해당하는 글
반응형
7

반응형

아직 긴 인생이 남았습니다. Review1.정년은 왜 불안한가?

Review/Book|2022. 9. 12. 08:47
infom1
infom2
infom3
infom4
반응형

미움받을 용기로 우리에게 친숙한 기시미 이치로 작가의 신작 아직 긴 인생이 남았습니다를 이번 추석 연휴 기간 읽어보았다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요즘 직장에서 60세를 전후로 해서 퇴직을 하면 10년에서 길게는 40년까지 긴 인생을 살아가야 하는데 이 책에서는 정년 퇴직 후 문제는 돈과 건강만이 아니라고 얘기한다.

사실 정년 이후의 삶에서 물론 정년과 상관 없이 돈과 건강은 우리 삶에서 기본적 이면서도 삶의 질을 결정할만큼 중요하다.
젊었을 때는 아파도 회복이 빠르고 경제적 활동을 왕성하게 하기 때문에 돈을 많이 벌고 적게 버는 것과 상관없이 먹고 사는 것에 크게 구애를 받지는 않는다

하지만 정년 이후의 삶은 이 두 가지가 부족하고 결핍된 상황에서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생명과 직결된다.

오랫동안 일하던 직장에서 퇴직을 하면 소속이 없어지기 때문에 우선 기존에 맺었던 인간관계가 끊어지고 새로운 인간관계를 맺기가 어렵다. 또한 자신은 살 가치가 없다고 생각을 하기 쉽다. 일하던 때와 달리 긴장감이 사라지고 매일 아무것도 하지 않는 생활이 죄스럽기까지 할 때도 있다.

사실 직장에서 휴가를 3일 이상 쓰거나 설, 추석 명절 연휴가 길 때는 시작후 하루,이틀은 쉬면서 마음의 여유도 찾으며 힐링하다가도 3일째 접어들면 점점 불안하고 따분해진다.

하지만 정년 이후의 삶은 짧은 하루,이틀의 휴가,연휴가 아니라 최소 10년에서 길게는 40년까지 아무것도 안해도 되는 삶을 산다고 하면 어떻게 견딜 수 있을지 상상이 가지 않는다.

하지만 아무것도 안한다는 말은 돈을 버는 일을 안한다는 뜻일 뿐 우리의 인생 2막을 어떻게 살면 좋을지 추석연휴기간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 아직 긴 인생이 남았습니다. 리뷰글로 책의 일부 내용을 인용했음을 밝힙니다.


#아직 #긴인생이 #남았습니다 #정년은 #왜 #불안한가 #인간관계 #돈 #건강
#아무것도 #하지않는 #생활



반응형

댓글()

어떻게 경제적 자유를 얻을 것인가 Review1. 30년 후 어떻게 살고 싶은가?

Review/Book|2022. 8. 27. 18:35
infom1
infom2
infom3
infom4
반응형

경제적 자유는 누구나 이루고 싶은 소망이고 목표일 것이다. 누구나 직장을 다니며 또한 사업을 하며 근로 소득 또는 사업 소득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이것 만으로는 경제적 자유를 얻기에는 너무나 부족하다. 언젠가 은퇴 후에 근로 소득이 없어지면 무엇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내가 근로 즉 일을 하지 않아도 소득이 계속 창출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이 책에서는 세대별 재정상황에 대한 사례를 통해 이들이 직면한 상황과 어려움은 서로 유사하며 내가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한 선결 조건으로 재정 독립을 하라고 제시한다.

재무적 관점에서 봤을 때 재정독립에 필요한 자산은 자본 자산, 즉 수익을 창출하는 자산으로 채권이나 주식, 부동산은 각각 이자와 배당, 임대료와 같은 수익을 만들어내는 자본 자신의 예라 할 수 있다.
또한 재정 독립의 사회적 의미는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선결 조건 이다.

나는 이 말에 적극 공감한다.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재정 독립 즉 경제적 자유가 필요한 것이다.
경제적 이유나 의무감으로 짊어지고 있던 무거운 '직'을 내려놓고 평소 자신이 즐기던 취미를 '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선제 요건이 바로 재정 독립과 경제적 자유이다.

이 책에서는 재정 독립을 성취하기 위해 세 가지 핵심 요건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첫째, 돈의 속성을 이해하라

돈은 무엇인가에 대한 대가로 무엇인가를 해서 받는 돈은 노동 소득, 돈에 대한 값어치로 받는 돈은 이자나 배당과 같은 투자 소득이다
돈은 항상 대가를 원하는 성격이 있고, 그 대가는 시간이 지나면서 또 위험하다는 곳에 사용될 수록 커지는 속성을 띤다
high risk high return 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위험이 크면 클 수록 더 많은 돈이 따라온다.
또한 돈은 어떤 소유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그 돈의 운명도 달라진다

성경에 보면 달란트의 비유가 있다. 어떤 사람이 타국에 갈 때 그 종들을 불러 자기 소유를 맡겼는데, 각각 그 재능대로 금 다섯 달란트, 두 달란트, 한 달란트를 주고 떠났다. 다섯 달란트 맡은 자와 두 달란트 맡은 자는 주인이 떠난 후에 열심히 장사해 갑절의 이윤을 남겼지만 한 달란트를 맡은 자는 그 한 달란트를 땅에 묻었다. 나중에 주인이 돌아와서 결산할 때 열심히 장사해 이윤을 남긴 다섯 달란트 맡은 자와 두 달란트 맡은 자는 칭찬을 받고 인정을 받았지만 한 달란트 맡은 자는 한 달란트 마저 뺏기고 쫓겨났다는 이야기이다.

돈을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소유자들은 그것을 모아 힘을 키우기 위해 회사를 설립하거나 펀드를 만든다. 돈은 무리를 지어 다니게 된다. 내가 가진 돈을 성장시키려면 큰 돈의 무리들이 어디로 어떻게 투자되고 흘러가는 지를 잘 파악해야 한다


둘째, 인간의 속성을 이해하라

역사적으로 많은 경제 위기를 겪어 왔는데 이 경제 위기들은 주기적으로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는 인간의 속성과 관계가 있다
행동재무학 관점에서 욕심과 공포 때문에 발생하는 자산 가격의 과도한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이 이런 경제적 위기를 주기적으로 일으킨다고 한다.
2020년 이후 한국에서 일어난 동학개미, 서학개미 운동이라는 것도 인간의 여러 속성들이 한데 어우러져 빚어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집단에 속해야만 마음이 편해지는 속성, 주변의 압박과 시선을 의식하는 속성 때문이다

투자란 결국 인간이 자본으로 하는 행위이고 따라서 인간 속성에 대한 이해는 자본에 대한 이해만큼이나 성공적인 투자에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자신의 기질을 알고 수정하라

투자에 성공하는 사람들에겐 일반인들이 갖지 못한 독특한 기질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세계적인 투자가인 워런 버핏, 조지 소로스, 피터 린치의 투자 마인드와 투자 기법을 따라서 해보기도 하고 관련 서적을 읽으며 공부한다.

이 책에서는 재정독립을 위한 연령대별 실천 전략과 연령대와 상관없는 실천전략을 제시한다

그중 연령대와 상관없는 실천전략에 대해 공감이 가는데, 1단계인 이륙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갖는 단계가 중요하다
학습과 훈련을 거듭하며 신념과 자신감을 갖는 것이다
안정적인 경제적 부를 이루기 위해서는 내가 재정독립과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해 설정한 방향과 전략에 대해 확신이 들어야 한다. 끊임없는 학습과 훈련을 하다보면 언젠가 확신이 드는 순간이 찾아온다.
축구선수가 골대를 향해 슛팅을 했는데 슛팅을 하는 순간 이미 골인이라는 확신이 들었다는 어느 축구 선수의 인터뷰를 본 적이 있다. 또한 야구 선수도 배팅을 하는 순간 배트에 볼이 맞자마자 홈런이라는 확신이 들었다고 한다.

투자도 마찬가지이다. 나의 투자에 대한 신념과 확신을 키우는 것이 우선이다.


*어떻게 경제적 자유를 얻을 것인가 리뷰 글로 책의 일부 내용을 인용했음을 밝힙니다

반응형

댓글()

원 디시전 One Decision 리뷰2 당신의 결정력을 높이는 다섯가지 포스

Review/Book|2022. 8. 25. 08:00
infom1
infom2
infom3
infom4
반응형

지난 리뷰에 이어 두번째 리뷰를 올린다
이번에는 당신의 결정력을 높이는 다섯가지 포스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한다




이 책에서는 포스를 이렇게 정의한다. 행동을 이끌어내고 좌우하는 생각 습관이다
부정적 포스는 장애물에만 집중하게 하는 힘이고 긍정적 포스는 모든 기회를 볼 수 있게 하는 힘이다

포스(F.O.R.C.E)

넘겨짚기(Fortune-Telling) 사실조사(Fact Finding)
지나친 일반화(Overgeneralizing) 객관적 사고(Objective Thinking)
경직된 사고방식(Rigid Mindset) 여유로운 사고 방식(Relaxed Mindset)
불명확한 목적(Confuse Purpose) 명확한 목적(Cliarified Purpose)
감정적 추론(Emotional Reasoning) 증거기반 추론(Evidence-Based Reasoning)

위 표에서 왼쪽이 부정적 포스이고 오른쪽이 긍정적 포스이다

사람이 살면서 부정적 포스에 사로 잡혀 결정을 못하거나 잘못된 결정을 할 때가 많다.

예를 들면 시험을 앞두고 공부를 제대로 못해서 아마 이번 시험 망칠 것이다 라고 생각하는 습관(넘겨짚기)
대학시험에 떨어졌다고 인생이 실패했다고 생각하는 습관 (지나친 일반화), 회의를 할 때나 일을 할 때 늘 해왔던 방식대로 하려는 경직된 사고방식, 쳇바퀴 도는 일상에서 행동을 할 때 무기력하게 목적없이 행동하는 습관(불명확한 목적), 우울하거나 기분이 다운된 상태에서 감정적으로 결정하는 습관(감정적 추론)이 그것이다

위에 예로 든 부정적 포스를 반대로 생각할 수 있다면 분명 결정력을 높일 수 있다.
지난 리뷰에서도 얘기했지만 부정적 포스와 긍정적 포스는 정말 종이 한장 차이이다. 순간의 생각을 어떤 방향으로 정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완전히 달라진다

나는 아침에 늦잠 자는 바람에 회사에 지각해서 상사에게 지적을 받은 적이 있는데 그 날은 기분이 우울하여 하루 종일 일이 손에 잡히지 않고 일을 할 때 자꾸 평소에 하지 않던 실수를 하게 되는 경험을 한 적이 있다.
하루 종일 우울한 감정에 빠져있지 말고 늦잠 잔 이유를 분석해서 다음에는 지각하지 않도록 구체적인 방법을 생각해서 실천하도록 하면 어떨까?

모임에 참여할 때 그냥 아무 생각없이 참여하는 것보다는 이 모임에 참여하여 인맥을 넓힌다거나 유익한 정보를 습득하려는 목적을 갖는 다면 좀더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모임이 즐거워질 것이다
자기계발을 위해 공부할 때도 그냥 공부를 위한 공부를 하는 게 아니라 이 공부를 하는 목적을 분명히 한다면 동기부여가 되어 좀더 적극적으로 공부를 하게 되고 성취감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포스는 습관이다. 습관은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 부정적 포스에서 긍정적 포스로 의식적인 생각의 전환을 통해 습관을 바꾸도록 하자.

* 원 디시전 리뷰 글로 책의 일부 내용을 인용했음을 밝힙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