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up에 해당하는 글
반응형
97

반응형

KOTRA 해외공동물류센터 사업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Startup|2019. 5. 29. 22:42
infom1
infom2
infom3
infom4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 스타트업 및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재정적 어려움 및 현지국가에 대한 정보부족 등의 사유로 수출이나 수입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코트라에서는 해외공동물류센터를 통해 국내 수출기업이 저렴하게 물류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현지국가의 물류창고 이용을 지원하며 통관, 수입대행, 내륙운송, 포장, 반품, 물류컨설팅 등 종합 물류서비스 제공을 통해 국내수출기업의 해외시장 진출확대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B2B뿐만 아니라 전자상거래 확대(해외 역직구)에 따른 온라인 수출 B2C 물류지원도 함께 수행하고 있습니다.

 

KOTRA 해외공동물류센터 사업의 구체적인 신청대상 및 지원내용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신청대상
○ 현지에 판로를 확보하고 있으나, 직수출에 따른 물류비 과다지출 및 신속한 납품시스템(JIT)부재로 수출확대에 어려움이 있는 기업
 Amazon, 알리바바, 라쿠텐 등 해외 온라인 판매를 준비 혹은 진행 중이나 물류비에 부담을 느끼는 국내기업
- FBA(Fulfillment by Amazon) 등 기존 온라인업체 물류서비스 이용기업도 가입가능
 지정 바이어가 없으나 수입대행을 통해 창고보관 후 온·오프라인을 통한 현지 마케팅, 판매, 물류지원을 원하는 기업
 국내 사업자등록증을 소지한 대한민국 국적기업(국내법에 의거 모기업이 대한민국 영토내)으로 제조·유통·무역업체
 대기업(공정위 발표 대기업군) 및 공공기관은 지원대상에서 제외


2. 지원내용 
 기업 지원기간 : 1년 단위 (기간제 사업)
- 연장의 경우, 무역관에서 해당기업의 수출실적 및 이용내용 검토 이후 결정
 현지 무역관과 제휴된 물류창고 보관면적(1년 동안 매월 5cbm 또는 10cbm) 제공
* 통관, 재고관리, 추가공간, 창고 입·출고, 운송 등 기본창고면적外 기타 물류서비스 이용료는 사업 참가기업이 현지 협력물류기업과 직접 계약·정산
 수출기업의 물류비 절감방안과 현지 최적의 물류수단 확보 등 물류컨설팅 제공
 현지 마케팅, 상품페이지 현지화, 홍보영상 제작 등 부가서비스 제공 가능(가입기업 부담, 일부 지역에 한함)


3. 기대효과
- 현지 물류기업과 공동협약을 통해 물류비용에서 할인율 적용, 가격경쟁력 확보
-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현지 물류기업 활용으로 적기납품(JIT) 물류 실현
- 공동물류 서비스 이용 중소·중견기업 및 제품에 대한 바이어신뢰도 제고

 

 

4. 참고사항

 사업참가비와 별도로 국내 참가기업은 무역관에서 지정한 현지 전문물류기업과의 서비스 계약을 통해 별도로 사용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KOTRA 해외 무역관 담당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5. 지원절차
① 공사홈페이지(http://www.kotra.or.kr)신청 → ② 신청접수 → ③ 시장성 및 수용여력 검토 → ④ 본사승인 및 납부안내문 송부 → ⑤ 입금 및 입금확인 →⑥ 협약서 작성 → ⑦ 사업개시
* 기한 내 참가비 미납 시 선정취소 될 수 있음

 

※ 자세한 사항은 코트라 홈페이지 내 해외물류네트워크 사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카카오쇼핑입점] 카카오톡스토어 가입신청하기

Startup|2019. 5. 17. 14:47
infom1
infom2
infom3
infom4
반응형

안녕하세요. 카카오톡은 국내에서 95%이상이 사용하는 모바일 메신저로서 높은 점유율을 바탕으로 다양한 비즈니스를 만들어 내고 있는 플랫폼입니다.

 

카카오톡 내에 카카오톡 스토어와 카카오 선물하기는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판매

 

 

카카오톡스토어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카카오쇼핑 비즈계정센터에서 해당되는 서류를 제출하여하면 승인이 됩니다. 사업자유형과 업종에 따라 다르니, 해당서류를 카카오쇼핑 비즈계정센터에 제출하면 3일이내 정도에 승인이 난 이후에 카카오톡 스토어 및 선물하기에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통신판매업신고증은 온라인 상에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필수서류로 해당구청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통신판매업신고를 하지 않으신 분들은 하단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8/11/17 - [Startup] - 인터넷판매를 위한 통신판매업 신고하는 방법

 

인감증명서는 법인인 경우, 등기소에서 발급받을 수 있으며 개인인감증명서는 해당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모두 오프라인상에서만 발급이 가능하니 방문하여 발급받으셔서 스캔본으로 준비해서 서류를 제출해줍니다.

 

 

비즈계정센터에 서류를 정상적으로 등록하신후, 이틀정도 지난후에 등록한 메일주소로 아래와 같이 승인메일이 오게 됩니다. 승인되지 않는 경우 반려사유를 수정하신후 재업로드하셔야 하며, 승인되었으니 스토어에 가입할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

 

 

카카오 쇼핑으로 들어가시면 2가지 항목 중에서 카카오톡 스토어에 입점하기 위해서 카카오톡 스토어의 가입하기를 클릭합니다. 선물하기의 경우 카카오톡 내에서 선물하기를 통해서 친구에게 선물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제가 취급하고 있는 상품은 선물하기에는 고가의 상품이기 때문에 선물하기는 하지 않고 카카오톡 스토어만 입점하기로 하였습니다. 어찌되었건, 카카오톡 스토어의 가입하기를 눌러서 개인정보이용동의를 체크하신후 다음을 클릭해줍니다.

 

 

사업자 정보는 비즈계정센터에서 신청하여 승인받은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오게 됩니다. 판매자 정보에서 상점명은 보통 기업브랜드명으로 작성해 줄 수 있습니다.

 

부가세 유형은 일반과세자/간이과세자/면세사업자/영세사업자 중에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영세사업자란 영세율을 적용받는 사업자를 의미합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일반과세자 및 간이과세자 유형으로 나눠지는데 사업자등록증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카카오톡스토어 관리정보에서는 택배사를 선택해주시는 데, 보통 계약하신 택배를 작성하시면 되며, 계약택배가 없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배송하실 택배사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직배송만 하신다면 없음을 선택하고 하단의 직배송을 선택해줍니다.

 

나머지 대표자와 담당자의 연락처정보를 기입해줍니다.

 

 

정산계좌정보는 구매결제시 납입받을 수 있는 계좌정보를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배송비계좌는 배송비용이 별도로 있는 경우 배송비용을 입금받는 계좌입니다. 동일한 경우 동일한 계좌번호를 작성해줍니다.

 

 

 

스토어명은 판매될 제품을 대표하는 스토어명을 기재해주시면 되며, 대표카테고리는 제품의 품목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다른 품목을 판매하시더라도 주로 많이 판매하는 대표 카테고리를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도메인, 프로필이미지, 스토어소개를 간략하게 기재해주시면 되며,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항목인 만큼 정성을 기울여서 작성을 해줍니다.

 

 

 

모든 사항을 기재하셨다면 가입요청이 완료되게 됩니다. 심사기간 경과후에 카카오톡 스토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카카오톡 스토어에 입점신청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심사통과이후에 상품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2019년 지식재산경영인증 모집이 공고되었습니다.

Startup|2019. 5. 15. 10:21
infom1
infom2
infom3
infom4
반응형

안녕하세요. 한국발명진흥회에서 금번 지식재산경영인증 신청 및 모집사업이 공고되었습니다. 지식재산 경영이란 기업의 특허, 디자인, 상표, 실용신안, 영업비밀 등을 활용하는 경영전략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경영활동을 의미합니다.

 

 

지식재산 경영인증은 이러한 지식재산을 활용하여, 기업의 인지도 및 신뢰도를 제고하면서 기업활동을 모범적으로 수행하는 기업인증입니다. 지식재산 경영인증을 통해서 특허청, 중소벤처기업부 등 다양한 공공기관에의 지원혜택과 함께 대외적인 기업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인증은 기업에서 하나의 자산이 되는 만큼 지식재산을 활용하여 사업을 추진중인 기업에는 필요한 사업이나 신청안내사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인증주체 : 특허청

□ 신청대상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 신청시기 : 상시 신청 가능 

□ 신청경로 : www.ipcert.or.kr (웹사이트) 

□ 신청수수료 : 33만원(VAT포함)
※ 갱신수수료 : 11만원 

 

□ 시행절차 

 

□ 인증기업 혜택

○ 특허청
- 특허·실용신안·디자인 우선심사 대상으로 지정
- 특허권·실용신안권·디자인권에 대한 연차등록료(4∼6년차) 70% 감면
* 현재 중소기업에게 연차등록료(4∼6년차) 50% 감면을 실시하고 있으나, 인증기업에게는 20%를 추가 감면하여 총 70%의 감면 혜택 제공
- 특허청 실시 각종 지원사업 참여시 가점 부여
· 우수발명품 우선구매추천제도
· IP 활용전략 지원사업
· IP R&D : 지재권 연계 연구개발 전략지원 사업

 중소벤처기업부 
- 정책자금 융자 시 한도 증액(45억원 → 70억원)
* 신성장기반자금 중 시설자금에 혁신형기업 기준 적용
- 기술개발 지원사업(창업성장기술개발, 기술혁신개발, 제품서비스기술개발, 공정·품질 기술개발 등) 참여 시 가점 부여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 TV․라디오 등 방송광고비 70% 할인
- TV․라디오 등 방송광고 제작비 50% 할인

○ SGI 서울보증(‘19년 진행 예정)
- 이행보증 한도 증액(최대 30억원 추가 보증)
- NICE평가정보(주)의 신용관리서비스 무상 제공

 

□ 심사항목 및 배점

○ 신규인증기준 :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인 경우 인증

 

○ 갱신인증기준 :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인 경우 인증

 

※ 자세한 신청접수 관련 사항은 지식재산경영인증 홈페이지(https://ipcert.or.kr)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