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ual..에 해당하는 글
반응형
267

반응형

리튬이온배터리용 음극소재의 종류, 제조공정, 소재별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Usual../행정|2022. 3. 25. 11:08
infom1
infom2
infom3
infom4
반응형
리튬이온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는 크게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이라는 4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 음극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음극재란

 

음극재는 양극재처럼 음극 기재에 활물질이 입혀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음극 활물질은 양극에서 나온 리튬이온을 가역적으로 흡수/방출하면서 외부회로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배터리가 충전상태일 때 리튬 이온은 양그이 아닌 음극에 존재하는데요.

이 때 양극과 음극을 도선으로 이어주면(방전) 리튬 이온은 자연스럽게 전해액을 통해

다시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고, 리튬이온과 분리된 전자는 도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합니다.                                                                                                                                  

 

 


 

음극재의 종류 및 특징

 

 

다음으론 음극활물질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극재는 리튬이온을 가지면서 배터리의 전반적인 수명과 

안전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에 음극재는 충전 및 방전 시 변화에 오래 버틸수 있는

'구조적 안정성'을 가진 재료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음극활물질은 크게 천연흑연, 인조흑연, 저결정성 탄소계, 금속계로 구분됩니다.

이 4가지 활물질들의 장점 및 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천연흑연

 

천연흑연은 자연에 존재하는 흑연을 채굴해서 정제 과정을 거치고 배터리에 알맞게 공정을 가한후,

인조흑연 음극재로 생산됩니다. 자연에 흑연 상태로 존재하는 거을 가져와 사용하기 때문에 

인조흑연과는 특성이 다소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천연흑연은 인조흑연에 비해 흑연화도가 높고 저가이며, 높은 리튬이온 저장용량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불규칙한 구조로 인해 표면적이 크고 edge면이 그대로 노출이 되기 때문에 

전지에 적용 시 전해질의 침투나 분해 반응에 의해 edge면이 박리나 파괴되어 비가역 반응이 크게 일어납니다.

 

최근 배터리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자연에서 채굴하는 흑연만으로는 수요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천연흑연은 일부의 나라(중국, 멕시코, 체코, 브라질)등에서만 채취가 가능한 한정된 자원이라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천연흑연을 대체할 높은 성능을 내는 인조흑연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인조흑연

 

 

인조흑연은 2,500 ℃ 이상의 고열을 가해서 흑연의 결정구조를 만들기 때문에 

천연흑연보다 안정적인 결정구조를 가지므로 리튬이온의 반복적인 충방전에도 결정구조의 변화가 작아

일반적으로 인조흑연계 음극재는 천연흑연보다 2~3배 정도 수명이 길다고 합니다.

하지만 생산과정에서 고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높은 성능을 내는 인조흑연을 생산하기 위해

MCMB(Mesocarbon microbeads), 피치, 무연탄, 코크스 단계에서 

충전 및 방전을 하는 방법 등의 많은 시도가 이루어졌습니다.

 

이중에서 MCMB는 높은 가역용량과, 우수한 사이클 성능, 고출력 성능까지 갖고 있어서 

산업계에서 사용되기도 했지만 복잡하고 값비싼 제작 공정 때문에 대규모로 생산하기 힘들어

가격 경쟁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증가하는 배터리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값싸고 풍부한 물질이 필요했습니다.

현재는 분체형 인조흑연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3. 저결정성 탄소계

 

 

탄소재료는 열처리 온도에 따라 교결정성 탄소와 저결정성 탄소로 분류됩니다.

 

저결정성 탄소는 소프트 가본과 하드카본으로 구성되며,

결정구조가 불안정하여 수명이 짧으나 리튬이온의 출입 속도가 빨라

고속 방전에 유리한 특성을 지닌다고합니다.

 

 

 

 

 

4. 금속계

 

금속계는 흑연 대비 에너지 밀도가 질량 대비 약 10배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보유한

실리콘이 차세대 음극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실리콘은 에너지 밀도는 우수하지만,

팽창, 낮은효율, 낮은 수명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가 있습니다.

실리콘의 팽창문제와 수명문제는 실리콘 나노화, 바인더 소재 변경, 전해액 첨가제를 통해

효율저하 문제는 실리콘 산화물 링 안에 메탈을 균일하게 반응시켜 개선하고 있습니다.

 

실리콘계 음극재는 크게 실리콘 산화물과 실리콘 카본으로 나뉘어지는데, 

대부분의 배터리 업체는 실리콘 산화물을 이용한 배터리를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음극재 제조공정

 

다음으론 음극재의 제조공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극재를 제조할때 주로 사용되는 인조 흑연의 제조 공정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인조흑연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극에 요구되는 특성에 맞는 코크스의 선택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고부하용 전극에 침상코크스가 사용됩니다.

침상코크스는 콜타르로부터 얻을 수 있고,

먼저 콜타르를 증류하여 유분과 소프트치피를 분리합니다.

이후 소프트피치를 제품 용도 별로 분니한 후 코킹(Coking)을 통해 굳힌다음 

고화된 물질을 더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결정성을 높입니다.

 

콜타르에서 코크스까지 (출처 : 피엠씨텍(PMCTECH) )

 

 

이렇게 얻어진 침상코크스는 충진제가 됩니다.

이 코크스를 원하는 입도 구성을 얻기 위해 분쇄하고,

입도 별로 분리한 후 원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입도 배합이됩니다. 

 

배합된 코크스를 잘 혼합한 후 바인더피치를 코크스를 코팅하기에 충분한 양의 비율로 가하여

130~170℃ 정도의 온도로 혼합합니다.

이렇게 얻어진 페이스트 상의 혼합물은 100~130℃ 정도로 균일하게 냉각한후

횡형 프레스로 일정한 형태로 압축합니다.

 

이후 소성로에서 바인더피치를 탄화해서 충진코크스를 입자끼리 결합시켜 단소재의 조직 골격을 형성합니다.

이때 파인더비치는 소성 중에 액상으로 상변화하여 300~500℃에서 열분해 중축합을 하고 탄화되어 

500~600℃에서 고화되므로 크랙이 생기기 쉽습니다.

따라서 승온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흑연 결정을 발달시키기 위해 3000℃ 전후에서 열처리를 하여 마무리합니다.

 

인조흑연을 만드는 과정 (출처 :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반응형

댓글()

SWOT 분석

Usual../행정|2022. 3. 23. 10:32
infom1
infom2
infom3
infom4
반응형
SWOT 분석 이란

 

SWOT 분석은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의 약자로,

요소를 분석하여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을 SWOT 분석이라고 합니다.

 

 

 

SWOT 분석 요소의 기준

 

각 요소 (S,W,O,T)는 크게 두 분류로 나뉘는데,

강점과 약점은 내부 기준이고,

기회와 위협은 외부 요인이라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드리자면, 밑에 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Strength : 내부강점 Weakness : 내부약점 Opportunity : 외부 기회 Threat : 외부 위협
-유리한 시장점유율
-경쟁사 대비 압도하는 기술력
-유통채널의 안정화
-규모의 경제
-CEO능력 & 내부 조직력
-자금 조달 능력
-낮은 마진율
-연구 개발 부족
-브랜드 이미지 추락
-고령화 된 인력
-떨어지는 제품력
-낮은 광고 효율
-높은 경제 성장율
-신시장의 출범
-새로운 고객 모수 출현
-유리한 정부정책, 법규, 제도
-낮은 진입 장벽
-새로운 기술의 탄생
-시장 규모의 빠른 성장
-다수의 경쟁기업 출현
-무역 규제
-경기 침체
-대체 상품 등장
-구매자, 공급자의 과포화
-시장 성장률 둔화
-불리한 법률 제도
 

 

 
SWOT분석 방법
 

 

SWOT 분석 방법은 요소별로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SO 전략, WO 전략, ST 전략, WT 전략 등으로 

두가지씩 묶어서 전략을 수립하는 것 입니다.

 

총 4가지 전략을 세울 수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
(Opportunity)
SO 전략
기회요인과 기업 내부의
강점을 대칭시켜, 강점을
가지고 기회를 살리는 전략
WO 전략
기회 요인과 기업의 약점을 대칭시켜, 약점을 보완하여 기회를 살리는 전략
위협
(Threat)
ST 전략
외부위협요인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전략 (강점을 가지고 위협을 제거)
WT 전략
위협요인은 회피하고 약점을 보완하는 전략 (후발주자의 입장에서 선발을 따라잡을 때 사용)

이러한 전략들을 본인의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분석 및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로

SWOT 전략입니다.

 


 

 

SWOT 분석 사례

 

다음으론 SWOT 분석의 사례를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샤오미를 통해 SWOT 분석의 사례를 들자면,

 

 

 

S, Strength로

- 소프트웨어 회사이지만, IT 기기까지 완벽하게 만듬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레드오션인 시장에 제품을 개발하여 내놓음

- 가성비, 그리고 동시에 품질이 뛰어난 제품을 생산함

 

 

W, Weakness로,

- 기술 특허 논란이 끈임없이 발생하고 있음

- 가성비가 뛰어나지만, 기능이 한계가 있다음

- 가격 경쟁에 취약하다! 가격을 올리면 경쟁력을 잃음

 

 

O, Opportunity로,

- 기술경쟁시대에 충분한 기술을 가지고 있음

- 규모경쟁시대에 충분한 공장의 수가 존재함

- 전 세계 인구 1위인 중국에 본사가 위치하기 때문에 중국시장에서 시잠점유율이 높음

- 전 세계 2위 인구를 확보하고 있는 인도에서 시장점유율이 높음

 

 

T, Threat로,

- 삼성, 그리고 애플과 같은 막강한 경쟁사가 존재함

- 특허를 취득하는데 있어서 논란이 존재함

- 표절제품이 끈임없이 등장하고 있음

 

이렇게 샤오미의 SWOT을 분석할 수 있겠습니다.                                                                                            SWOT 분석의 각각의 의미와 더불어서,

 

샤오미의 SWOT 분석을 한번 눈 여겨 보시면,

더욱 더 SWOT 이라는 개념이 쉽게 이해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

6시그마란 ?

Usual../행정|2022. 3. 22. 16:58
infom1
infom2
infom3
infom4
반응형
6시그마란

 

6 시그마는 일반적으로 불량률을 일정 수치 이하로 운영하기 위한 품질 프로세스 개선으로,

단순히 불량률을 낮추자라는 운동이 아니라, 6 시그마(3/1,000,000)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기반으로

공정을 개선해 나갑니다. 6 시그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6시그마의 정의

 

6시그마는 기업에서 전략적으로 완벽에 가까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정립된 품질경영 기법 또는 철학으로서,

기업 또는 조직 내의 다양한 문제를 궤적으로 정의하고 현재 수준울 계량화하고 평가한 다음 개선하고 이를 유지 및 관리하는 경영 기업입니다.

원래 모토로라에서 개발된 일련의 품질 개선 방법이었으며 품질 불량의 원인을 찾아 해결해 내고자 하는 체계적인 방법론입니다.

 

서비스 또는 제품을 높은 품질로 제공하기 위한 경영 개선 프로세스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단순하게 품질 좋게 하자는 운동 정도라면 불량률을 어디까지로 목표할 것인가가 문제입니다.

거기에 6시그마라는 수치가 나오게 됩니다.

 

6시그마는 정규분포에서 표준편차를 의미하는데, 

그래프로 표현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6시그마 표준편차 그래프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여기서 1시그마는 68%, 2시그마는 95%, 3시그마는 99.7% 식으로 6시그마까지 가면 99.99966%가 됩니다.

100만개 중 3.4개의 불량률(Defects per million opportunities, DPMO)이 나오는 것을 목표로 해서

이름이 6시그마입니다.

 

소비자에게 전달할 때 검수를 통한 6시그마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불량이 나올 수 있는 공정 과정,

근본적인 원인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6 시그마 방법론

 

다음으론 6시그마의 방법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6시그마의 방법론은 DMAIC DMADOV라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DMAIC는 현재 존재하는 프로세스나 제품의 결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법론인 반면,

 

DMADOV는 신제품을 설계하거나 현재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6 시그마 수준으로 설계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6 시그마의 구축 방법론은 DMAIC입니다.

DMAIC는 단계적으로 5단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DMAIC의 단계별 주요 추진 절차 (출처: 노재범 외(2005).

 

 


 

 

6시그마의 종류

 

6시그마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6시그마는 WB, GB, MGB, BB, MBB 총 5단계가 존재하는데,

 

교육을 받는 실무자 그룹에 따라 GB - BB - MBB(총 3단계),

WB - GB - BB - MBB(총4단계) 등으로 나뉘게 됩니다.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WB
(White Belt)
GB
(Green Belt)
MGB
(Master Green Belt)
BB
(Black Belt)
MBB
(Master Black Belt)
기초적인 단계로 식스시그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배우기 위한 과정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들(6 시그마 기초, DMAIC 방법론, 미니탭 등)을 배우는 과정 특정 기업에서만 운영하는 단계라 자세한 사항을 알 수 없다. 불량문제 해결을 주도적으로 담당하는 자격을 위한 교육, GB에서 배운 각 교육과정의 심화단계를 배움 심화를 넘어서 지식과 노하우를 기본으로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되기 위한 교육과정

 

 

관련이미지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