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석기 시대 역사여행 추천관광지 공주 석장리 박물관 쓱 훑어보기

Travel/여행|2025. 4. 10. 13:26
infom1
infom2
infom3
infom4
반응형

공주를 지나칠 때마다 볼 수 있는 석장리 박물관을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석장리 박물관은 구석기 시대의 유물이 발굴되면서 유적지로 유명해진 곳입니다.

 

최신 시설로 된 관광지도 많이 있지만, 그래도 역사관광이 배울점도 있고 의미도 있는 듯합니다.

 

공주 석장리 박물관은 공주시내에서 다소 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조금 늦은 시간에 방문해서 그런지, 사람이 많이 없습니다 ㅎㅎ

 

주차장도 넓고, 박물관 규모도 커서 아이들과 나들이 오기 좋습니다.

 

초입부터 구석기 느낌이 물씬 느껴지는 군요

석장리박물관 입구

 

공주 석장리 박물관의 운영시간은 매일 오전 9시부터 18시까지 운영하며, 설날과 추석당일은 휴관한다고 하니 방문예정이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석장리 박물관 내부로 들어가니 구석기인이 맞이하고 있으며, 구석기 시대에 살던 집인 움막과 같은 형상으로 지어진 집들이 보입니다.

 

전반적인 분위기를 구석기 시대를 모태로 해서 탁트인 공간에 있어 구경하면서 즐길수 있습니다 ㅎㅎ

석장리박물관 움막형상 전시물
구석기인 조형물

 

흑요석은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지는 자연적으로 만들어 지는 유리라고 하네요.

 

그래서 구석기 시대에 사냥을 하거나 요리를 할때에 날카로워 자주 사용되는 광물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흑요석에 대한 이야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석기 시대 사람들의 다양한 생활상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역사정보와 함께 전시물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학창시절을 제외하고는 크게 관심이 없었던 분야인데 이렇게 박물관에서 만나니 다시 한번 인류기원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된 듯합니다.^^

구석기 피규어
흑요석 교육전시물
당시 사용하던 흑요석 전시물

 

특별기획전 전시실을 나와서 상시적으로 전시되고 있는 전시실입니다.

 

여기 전시실은 구석기인의 형상과 함께 다양한 유물이 전시되고 있으며, 역사공부와 함께 당시 사용하는 뗸석기에 대한 체험공간까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인류가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과 당시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동물에 대한 전시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유적을 발굴하는 방법에 대한 전시까지 이루어 지면서 구석기 시대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라면, 배울것이 많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구석기인 생활상 모형
구석기인 형상화한 모형
뗀석기 전시물
구석기시대 동물 교육자료
구석기 유물 발굴 전시
인간의 진화에 관한 전시물

 

전시실의 옥상으로 올라갈 수 있는 옥상전망대 입니다.

 

전시실 옥상에서 내려다 보면 석장리 박물관 전체는 보이지 않지만 탁트인 광경을 볼 수 있습니다.ㅎㅎ

 

쉴 수 있는 평상이나 벤치도 곳곳에 있어서 잠시 쉬면서 여유를 즐기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옥상정원 산책길
옥상정원 쉼터

 

약간 언덕진 산을 따라서 약간의 등산을 하다보면 구석기 시대인들이 살던 동굴이 형상화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조형물도 구석기 느낌이 나도록 동굴형태로 하면서 방문하는 관광객이 즐길 수 있는 포인트를 마련해둔듯 합니다.(실제 돌로 지으진 구조물은 아니었습니다^^)

 

또한, 곳곳에 구석기 사람들을 만날 수도 있어서, 야외에서도 사진을 찍기 좋습니다. 

 

산책길 끝자락에는 미끄럼틀이 있는데 타고 내려가면 한번에 아래로 내려갈 수 있습니다. 

 

상당히 길기 때문에 롤러 형식으로 속도를 높일 수 없도록 한 듯합니다. 나름 재미있습니다.ㅎㅎ

야외 인공동굴
야외 구석기인 생활상 모형1
야외구석기인 생활상 모형2
야외구석기인 생활상 모형3

 

다른 곳도 조금 더 구경하고 싶었으나, 마감시간이 다 되어 나가는 길에 풍경이 정말 좋네요. 

 

도심내에 있지 않아서 공기도 좋고 하늘도 맑고 관광목적이 아니더라도 다시금 힐링되는 시간이네요.

석장리 박물관 야외경치1
석장리박물관 야외경치2

 

지금까지 공주 석장리 박물관 방문후기를 마치면서, 상당히 규모가 크기 때문에 시간여유를 두시고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