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판매 및 해외수출을 위한 대표적인 제품인증

Startup|2018. 11. 17. 12:11
infom1
infom2
infom3
infom4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업이 신제품을 출시하는 과정에 가장 많이 하는 것이 인증을 받는 것인데요.


인증을 받는 이유는 쉽게 말해서 해당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서 판매를 가능하게 하는 강제인증제도는 국민의 건강 및 안전에 위협이 가할 만한 품목에 대해서 인증없이는 판매가 불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이유로는 소비자에 대한 신뢰성 증가입니다. 강제인증이외에도 우수한 디자인에 부착되는 GD(굿디자인)마크 등은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고려되는 요건중 하나가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세번째로는 정부지원사업을 위한 인증취득입니다. 특히, 나라장터, 학교장터의 조달시장에서 등록해도 되지만, 공공기관에서는 친환경인증 등의 인증서가 있어야만 구매할 수 있는 조건이 따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스타트업기업에게 인증제도는 특허와 함께 제품출시 과정에서 가장 필수적인 절차가 되고 있습니다.


인증제도는 이러한 필요에 의해서 생겨났지만, 업종별 인증이 다르고 소비자의 혼란, 기업의 비용 증가 등을 이유로 국내에서는 국가통합인증마크로 KC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KC인증마크는 전기용품 및 거의 대부분의 의류잡화 같은 제품에 필요한 법정강제인증 마크로서, KC인증 품목에 해당되는 데도 불구하고, 인증없이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의 경우에는 과태료가 수백만원에 이르게 됩니다.


이러한 국내에는 국가통합마크로서 KC인증이 있지만, 해외에는 대표적인 인증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 유럽의 CE인증


유럽의 CE인증은 EU회원국 간 교역의 편리성을 위해서 안전/환경 및 소비자 보호와 관련된 강제 인증입니다.


EU, EFTA 지역 및 터키 내에서 추가 인증없이 자유로운 유통이 가능한 유럽의 적합성평가 인증마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EU지역에 수출을 할 경우에는 반드시 CE인증을 취득하여야 수출이 가능합니다.



| 중국의 CCC인증


전기제품, 전기통신 등 19 분류 132개 품목을 인증하는 국가통합인증마크로서 국내제품(CCEE)과 수입제품(CCIE)에 달리 적용되던 강제인증제도가 CCC로 통합되었습니다.


중국내에서 유통되거나 중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중 CCC인증대상 품목은 반드시 인증을 취득하여야 판매 및 수입이 가능합니다.



| 일본의 PSE인증


고무절연전선 등 453개 품목을 인증하는 국가통인증마크로서 인증대상은 특정전기용품(115개품목)과 특정 전기용품 이외의 전기용품(338개 품목)으로 구성됩니다.


국내유통은 제조업자가, 수입품의 경우 일본 경제산업성에 신고된 수입업자가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국내 스타트업 기업이 수출 및 현지 진출을 통한 수입을 고려하고 있다면 반드시 인증을 검토한 후에 사업을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출하고자 하는 기업은 인증을 받고 적법한 절차를 통하여야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반응형

댓글()